孔 子 穿 珠
(구멍 공, 아들 자, 뚫을 천, 구슬 주)
공자가 구슬을 꿰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수치로 여기지 말
라는 말 |
공자가 어느 날 아홉 구비가 구부러진 구멍이 있는 진기한 구슬을 얻었다. 공자는 그
구슬에 실을 꿰려고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그래서 아낙네라면 그 방법을 알고 있
을 것도 같아 근처에서 뽕을 따고 있는 여인에게 물었다. 그러자 아낙은 이렇게 말했
다.
"조용히 생각하십시오. 생각을 조용히 하십시오.(密爾思之 思之密爾)"
공자는 다시 생각 끝에 그 뜻을 깨닫고는 개미를 잡아다가 개미 허리에 실을 매었다.
개미를 구슬의 한쪽 구멍에 밀어넣고 다른 쪽 출구가 되는 구멍에 꿀(密)을 발라서 개
미를 유인했다. 마침내 허리에 실을 맨 개미가 출구로 나왔다. 실이 꿰어진 것이다.
공자는 아낙이 일러준 밀(密)에서 꿀을 떠올렸던 것이다.
|
'☆생활의지혜방☆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고사성어][過 猶 不 及(과유불급)](034-180) (0) | 2008.11.04 |
---|---|
[이야기고사성어][空 中 樓 閣(공중누각)](033-179) (0) | 2008.11.03 |
[이야기고사성어][曲 學 阿 世(곡학아세)](031-177) (0) | 2008.11.01 |
[이야기고사성어][古 稀(고희)](030-176) (0) | 2008.10.31 |
[고사성어][高 枕 安 眠(고침안면)](029-175) (0) | 200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