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고사성어][勸 善 懲 惡(권선징악)](056-202) 勸 善 懲 惡 (권할 권, 착할 선, 징계할 징, 악할 악) 착한 행실은 권하고 악한 행위는 징계함. 선한 사람은 격려하고 악한 행위를 하는 자 를 책망함. 노(魯)나라 성공(成公) 때, 제(齊)나라로 공녀(公女)를 맞이하러 가 있던 교여(僑如: 선백)가 부인 강씨(姜氏)를 제나라로 데리고 돌아왔다. 교여라고 높여..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7
[이야기고사성어][君 子 豹 變(군자표변)](055-201) 君 子 豹 變 (임금 군, 아들 자, 표범 표, 변할 변) 표범의 가죽이 아름답게 변해가는 것처럼 군자도 뚜렷한 태도로 옮겨간다. 오늘날에 는 이 성어가 소인들의 돌변하는 행동을 나타내는데 쓰이고 있다. 역경(易經)에 '군왕은 호랑이로 변한다. 군자는 표범으로 변하고 소인은 얼굴을 혁 신한다'는 말이 ..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6
[이야기고사성어][君 子 三 樂(군자삼락)](054-200) 君 子 三 樂 (임금 군, 아들 자, 석 삼, 즐길 락)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는 말 전국 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는 <맹자(孟 子)> '진심편(盡心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첫째 즐거움은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5
[이야기고사성어][群 盲 撫 象(군맹무상)](053-199) 群 盲 撫 象 (무리 군, 소경 맹, 어루만질 무, 코끼리 상) 여러 소경이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으로, ①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 대로 그릇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 ② 범인의 좁은 식견을 비유한 말 인도의 경면왕이 어느 날 맹인들에게 코끼리라는 동물을 가르쳐 주기 위..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4
[이야기고사성어][國 士 無 雙 (국사무쌍)](052-198) 國 士 無 雙 (나라 국, 선비 사, 없을 무, 쌍 쌍) 나라 안에 견줄 만한 자가 없는 인재라는 뜻으로,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을 일컫 는 말 초패왕 항우와 한왕 유방에 의해 진나라가 멸망한 한왕 원년(B.C. 206)의 일이다. 당시 한군에는 한신이라는 군관이 있었다. 처음에 그는 초군에 속해 있었으나 아무..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3
[이야기고사성어][口 禍 之 門(구화지문)](051=197) 口 禍 之 門 (입 구, 재앙 화, 어조사 지, 문 문) 입은 재앙의 문.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라는 뜻이다. 풍도(馮道)는 당(唐)나라 말기에 태어났다. 당나라 멸망 후에 진(晉), 한(漢) 등으로 이어지는 여러 나라에 벼슬한 사람으로 알려 져 있다. 풍도가 쓴 설시(舌詩)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입은 곧 재..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2
[이야기고사성어][九 牛 一 毛(구우일모)](050-196) 九 牛 一 毛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쇠)털'이라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 가장 적 은 것을 이르는 말 한나라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5,000의 보병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하러 나갔던 이 릉 장군은 열 배가 넘는 적의 기병을 맞아 처음 10여 일간은 잘 싸웠으..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20
[이야기고사성어][口 尙 乳 臭(구상유치)](049-195) 口 尙 乳 臭 (입 구, 오히려 상, 젖 유, 냄새 취)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 상대가 어리고 말과 행동이 유치함을 얕잡아 일컫는 말. 한왕이 한신을 시켜 위왕 표를 치게 하면서 물었다. "유나라의 대장이 누구인고?" 좌우의 사람들이 대답하였다. "백직(柏直)입니다." 그러자 한왕이 말했다. "입에서 ..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19
[이야기고사성어][九 死 一 生(구사일생)](048-194) 九 死 一 生 (아홉 구, 죽을 사, 한 일, 살 생) 아홉 번 죽을 고비에 한 번 살았다. 죽을 고비를 어렵게 넘겨 살아남을 비유하는 말. 전국시대 초(楚)나라 시인이며 정치가인 굴원의 작품은 거의 모두가 몽환적인 세계 를 묘사하고 있다. 고대 문학에서는 드물게 서정적이며 당시 조정 간신들의 발호, 현 신..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18
[이야기고사성어][口 蜜 腹 劍(구밀복검)](047-193)] 口 蜜 腹 劍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입 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체하지만 속으로 는 은근히 해칠 생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한 말 당나라 현종(玄宗: 712∼756) 후기에 이임보(李林甫)라는 재상이 있었다. 그는 태자 이하 그 유명한 무장인 안록산까지 두려워했.. ☆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2008.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