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역사☆/♡☞대한제국♡

백야 (白冶) 김좌진 장군의 생가와 기념관

문수봉(李楨汕) 2017. 11. 27. 20:36


백야 (白冶) 김좌진 장군의 생가와 기념관

 

 

성탄을 지나 세모에 홍성군의 역사적 유적들을 찾아 겨울여행에 나섰다.

2011년 12울 27일 서해고속 홍성IC에서 빠져 제일 먼저 찾은 곳이

김좌진 장군 생가지였다.

연일 눈이 내려 곳곳에 눈길을 치고 있었다.

 

 

 


 

김좌진 장군의 사당 '白冶' 안내판

 

 

백야 김좌진 장군 전승 기념축제

 

백야 김좌진 장군의 구국충절의 위업을 기리고

청산리 전투의 전승을 기념하기 위하여 해마다 10월이면 축제사 열린다.

무관학교 체험행사, 짚공예 전시, 옹기시연 전시, 국화 전시, 태권도 시범

무술시범, 특전사 특공 무술, 풍물놀이, 불꽃놀이,

김좌진 장군 가장행열 및 승마 퍼레이드,

 

그리고 유족과의 만남 교류행사도 열린다.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 김두한이고, 김두한의 딸이 김복동이다.

그리고 김복동의 아들이 탈렌트 송일국이다.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330-1

전화 : 041-634-6952

 

 


 

김좌진 장군 기념비

 



 

주차장에서 바라본 사당과 기념비

 



 

주차장 옆에 세워진 장군의 어록비

 




사당으로 오르는 정문 '화룡문'

 



 

사당 '백야사'

 





 

김좌진 장군 영정 (1889. 11. 24 - 1930. 1. 24. 41세)

 



 

          

 백야 김좌진 장군이 남긴 유일한 애국시

 

「斷腸之痛(단장지통)」

 

   刀頭風動關山月 (도두풍동관산월)  적막한 달밤에 칼머리의 바람은 세찬데

  劍末霜寒故國心 (검말상한고국심)  칼끝에 찬 서리가고국 생각을 돋우누나

                                         三千槿域倭何事 (삼천근역왜하사)  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웬말인

                                         不斷腥塵一掃尋 (부단성진일소심) 단장의 아픈 마음 러버릴 길 없구나

 

 

김좌진 장군의 생애

1889.11.24(음)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출생

1902. 해주 오씨 오숙근과 결혼

1905. 가문의 노비 해방, 자신의 전답 무상 분배(16세)

1907. 호서지역을 널리 밝게한다는 뜻의 호명학교 설립, 신학문 전개(18세)

1908. 기호흥학회 장학재단 설립, 한성신문 이사 취임

1909년. 이창양행, 서북학회, 오성소학교 설립(20세)

1913. 일제에 체포. 서대문형무소에서 2년 복역

1917. 대한광복단 조직, 단장 취임(28세)

1918. 안창호, 신채호, 백윤식, 김규식 등과 함께

대한독립선언문(무오독립선언서) 선포  

1919. 북로군정서 사령관 겸 사관연성소(독립군 간부 양성소) 교장 취임(30세)

1920.10.21-26. 6일간 백운평, 천수평, 어랑촌 등

10여 차례 전투끝에 승리(청산리전투)(31세)

1921. 대한독립군단 결성(연합병력 3개 대대 3500여 명)

1922. 대한독립군단 재결성 및 총사령관 취임

1925. 신문부 창건(군사위원장, 사령관 겸임)(36세)

1929. 한족총연합회 주석 취임

1930.1.24. 일제 사주를 받은 조선공산당원 박상실에 의해 피살(41세)

1934. 충남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밀장

1957. 충남 보령군 청소면 재정리 이장

1962. 3.1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관

 







백야 김좌진 장군 흉상

 



 

전시실

 



 

사진 전시관

 




 

장군이 사용하던 소총 유물

 



 

김좌진 장군의 생가지

 

 






 

잘 보존된 김좌진 장군 생가

 



 

생가 전모

 

 


 

생가 '호반정사'

 

 


 

장군이 어릴 때 거처하던 방

 

 


 

마구간

 



 

생가에 보존된 농기구들

 




오래된 나무절구통

 



 

2008년에 건립된 백야공원

그의 생애 중 두드러진 장면을 5개의 동상과 해설 동판으로 세웠다.

 




광복의 아침

 





 

진격

 





 

일깨움

 





 

행방의 실천

 



 

유년의 꿈

 




기념관과 사당으로 드는 정문

 



 

와룡재(臥龍齋)

 



와룡재 현판

 


 

장군의 충혼을 기리는 충혼탑

 


 

 

단장지통 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