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서 *
여름이 지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 '처서'라 불렀다. 이제는 날씨가 밤낮으로 변화가 심하여 모기도 입이 삐뚤져서 물지 못한다. 논·밭두렁이나 산소의 벌초를 한다.
곡식이 준다."는 속담처럼 처서의 비는 곡식이 흉작을 면치 못한다는 믿음이 영·호남 지역에 전하여져 온다. 그만큼 처서의 맑은 날은 농사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옛부터 처서날이 잔잔하면 농작물이 풍성해진다 했다. 논·밭 웃비료 주기가 이루어진다. 칠월은 한가해 어정거리며 시간을 보내고, 팔월은 추수하느라 일손이 바빠 발을 구르며 지낸다는 말이다. 그러나 칠월도 생각보다는 일거리가 많다. 특히 태풍이 오거나 가뭄이 오면 농민의 일거리는 그만큼 늘어난다. 논물도 조정해야 하고 장마 후에는 더 극성을 부리는 벼 병·충해 방제도 빠뜨릴 수 없는 일이다.
|
'☆우리들의세상☆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와 소나무] (0) | 2008.08.25 |
---|---|
[하해보다 드넓은 어머님 은혜] (0) | 2008.08.24 |
[싱거운 대화] (0) | 2008.08.23 |
[바지 벋는 남자. 치마 벋는 여자] (0) | 2008.08.23 |
[내 블로그] (0) | 2008.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