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지혜방☆/♡☞고사성어♡

[이야기고사성어][管 鮑 之 交(관포지교)](036-182)

문수봉(李楨汕) 2008. 11. 6. 02:00

管 鮑 之 交

(대롱 관,  절인고기 포,  어조사 지,  사귈 교)

'관중(管仲)과 포숙아(鮑淑牙) 사이와 같은 사귐'이란 뜻으로, 시세(時勢)를 떠나 친

 

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초엽,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이들은 죽마 고우(竹

 

馬故友)로 둘도 없는 친구 사이었다.

 

관중이 공자 규(糾)의 측근(보좌관)으로, 포숙아가 규의 이복 동생인 소백(小白)의 측

 

근으로 있을 때 공자의 아버지 양공이 사촌 동생 공손무지에게 시해되자, 관중과 포

 

숙아는 각각 공자와 함께 이웃 노나라와 거나라로 망명했다.

 

이듬해 공손무지가 살해되자 두 공자는 군위(君位)를 다투어 귀국을 서둘렀고 관중

 

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정적이 되었다. 관중은 한때 소백을 암살하려 했으나 그가

 

먼저 귀국하여 환공(桓公)이라 일컫고 노나라에 공자 규의 처형과 아울러 관중의 압

 

송을 요구했다. 환공이 압송된 관중을 죽이려 하자 포숙아는 이렇게 진언했다.

 

"전하, 제 한 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臣)으로도 충분할 것이옵니다.

 

하오나 천하의 패자(覇者)가 되시려면 관중을 기용하시오소서."

 

도량이 넓고 식견이 높은 환공은 신뢰하는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大

 

夫)로 중용하고 정사를 맡겼다.

 

이윽고 재상이 된 관중은 과연 대정치가다운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창고가 가

 

득 차야 예절을 안다' '의식이 풍족해야 영욕을 안다'고 한 관중의 유명한 정치철학이

 

말해 주듯, 그는 국민 경제의 안정에 입각한 덕본주의(德本主義)의 선정을 베풀어 마

 

침내 환공으로 하여금 춘추의 첫 패자로 군림케 하였다. 이같은 정치적인 성공은

 

관용과 관중의 재능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이긴 하지만 그 출발점은 역시 관중에 대한

 

포숙아의 변함없는 우정에 있었다. 그래서 관중은 훗날 포숙아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이렇게 술회하고 있다.

 

"나는 젊어서 포숙아와 장사를 할 때 늘 이익금을 내가 더 많이 차지했었으나 그는 나

 

를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그를

 

위해 한 사업이 실패하여 그를 궁지에 빠뜨린 일이 있었지만 나를 용렬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일에는 성패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벼슬길에 나갔다가

 

는 물러나곤 했었지만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운이 따르고 있지 않다

 

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인가. 나는 싸움터에서도 도망친 적이 한두 번

 

이 아니었지만 나를 겁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노모가 계시다는 걸 알고 있었

 

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를 낳아 준 분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이다

 

(生我者父母 知我者鮑淑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