刮 目 相 對
(비빌 괄, 눈 목, 서로 상, 마주볼 대/대할 대)
'눈을 비비고 상대를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전에 비하여 딴 사람으로
볼 만큼 부쩍 는 것을 이르는 말 |
삼국시대 초엽, 오왕(吳王) 손권(孫權:182∼252)의 신하 장수에 여몽(呂蒙)이 있었
다. 그는 무식한 사람이었으나 전공을 쌓아 장군이 되었다.
어느 날 여몽은 손권으로부터 공부하라는 충고를 받았다. 그래서 그는 전지(戰地)에
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手不釋卷-수불석권)' 학문에 정진했다.
그 후 중신(重臣) 가운데 가장 유식한 재상 노숙(魯肅)이 전지 시찰 길에 오랜 친구인
여몽을 만났다. 그런데 노숙은 대화를 나누다가 여몽이 너무나 박식해진 데 그만 놀
라고 말았다.
"아니, 여보게. 언제 그렇게 공부했나? 자네는 이제 '오나라에 있을 때의 여몽이 아닐
세그려."
그러자 여몽은 이렇게 대꾸했다.
"무릇 선비란 헤어진지 사흘이 지나서 다시 만났을 땐 '눈을 비비고 대면할(刮目相
對)' 정도로 달라져야 하는 법이라네."
♣ 여몽 : 재상 노숙이 병사(病死)하자 여몽은 그 뒤를 이어 오왕 손권을 보필, 국세
(國勢)를 신장하는데 힘썼음. 여몽은 촉(蜀) 땅을 차지하면 형주[荊州:호남성(湖南
省)]를 오나라에 돌려주겠다던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유비(劉備)의 촉군(蜀軍)을 치
기 위해 손권에게 은밀히 위(魏)나라의 조조(曺操)와 화해·제휴할 것을 진언, 성사시
키고 기회를 노렸음. 그러던 중 형주를 관장하고 있던 촉나라의 명장 관우(關羽)가 중
원(中原)으로 출병하자 여몽은 이 때를 놓이지 않고 출격하여 관우의 여러 성(城)을
하나하나 공략(攻略)한 끝에 마침내 관우까지 사로잡는 큰 공을 세움으로써 오나라
의 백성들로부터 명장으로 추앙을 받았음.
|
'☆생활의지혜방☆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고사성어][光 風 霽 月(광풍제월)](039-185) (0) | 2008.11.09 |
---|---|
[이야기고사성어][曠 日 彌 久(광일미구)](038-184) (0) | 2008.11.08 |
[이야기고사성어][管 鮑 之 交(관포지교)](036-182) (0) | 2008.11.06 |
[이야기고사성어][瓜 田 李 下(과전이하)](035-181) (0) | 2008.11.05 |
[이야기고사성어][過 猶 不 及(과유불급)](034-180) (0) | 2008.11.04 |